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정맥천자 시행하는 방법

by healing-s2 2025. 3. 26.
반응형

< 정맥 천자 >

준비 물품은 토니켓, 가위, 혈관 카테터, 알코올솜, 수액 걸대, 처방된 수액과 수액에 섞을 약물, 수액 세트, 반창고, 일회용 장갑, 투약 카드, 쟁반이 필요합니다.

1.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시술 전에 먼저 손을 깨끗이 씻도록 합니다.
2. 정맥천자 시 필요한 물품을 준비하도록 합니다.
3. 대상자의 이름과 생년월일 또는 대상자의 이름과 환자 등록번호 그리고 환자 팔찌를 확인하여 대상자가 정확한지 확인하도록 합니다.
4. 대상자에게 정맥천자를 하는 이유와 절차를 설명하도록 합니다.
5. 준비된 수액을 수액 걸대에 걸어 준비하도록 합니다.
6. 손으로 대상자의 팔에 있는 정맥을 만져보고 관찰하여 정맥천자를 시행할 적절한 부위를 선택하도록 합니다. 적절한 주사 부위의 선택은 대상자의 불편감을 줄여줄 수 있고 신체의 손상을 줄일 수 있도록 합니다.
7. 정맥의 혈관을 팽창시키고 정맥의 혈류를 차단하기 위해 정맥천자를 시행할 부위의 위쪽 부분 12~15cm에 토니켓을 묶도록 합니다. 이때, 토니켓의 끝부분이 혈관 부위에서 멀리 위치하도록 하고 요골 맥박이 토니켓 아랫부분으로 계속해서 뛰고 있음을 확인하도록 합니다.

* 토니켓을 오래 묶고 있는 경우에는 묶고 있는 부위로 혈액 공급을 막아 조직이 괴사 될 수 있고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토니켓을 묶고 있는 채로 3분 이상 소요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8. 전완의 근육을 수축시키고 혈액을 정맥으로 이동하게 하여 정맥을 팽창시키기 위해 대상자에게 몇차례 주먹을 쥐었다가 폈다 하도록 합니다.
9. 정맥을 관찰하여 정맥천자를 시행할 부위를 선택하도록 합니다. 정맥천자를 시행할 정맥을 찾기 어렵다면 토니켓을 묶고 있는 상태에서 정맥을 팽창시키기 위해 정맥 윗부분을 톡톡 가볍게 두드려 보며 찾아보도록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찾지 못한다면 묶었던 토니켓을 제거하고 정맥이 울혈 되어 팽창시키기 위해 심장이 위치한 곳보다 대상자의 팔을 낮게 유지하도록 하고, 따뜻한 찜질팩을 정맥 위에 올려주고 10~15분간 유지하도록 합니다.   
10.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고 오염된 혈액이나 체액으로부터 간호사를 보호하기 위해 일회용 장갑을 착용하도록 합니다.
11. 선정한 주사 부위에 있는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해 선정한 주사 부위를 알코올솜으로 둥글게 원을 그리며 바깥쪽으로 향해 닦도록 하고 알코올솜으로 닦은 부위의 피부가 마르길 기다리도록 합니다. 만약 지방 분비로 인해 피부에 기름기가 있으면 아세톤으로 피부를 닦도록 합니다.
12. 주사침이 정맥의 혈관 안으로 들어갈 때 정맥의 혈관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선정한 주사 부위에서부터 3~5cm 정도 아래에 있는 정맥 부위를 왼쪽 손 엄지손가락으로 누르도록 합니다.
13. 오른쪽 손으로 바늘의 중심 쪽을 잡고 바늘의 경사면을 위쪽으로 향하게 한 뒤 30~45도 정도의 각도로 피부를 부드럽게 찔러 바늘이 들어가도록 합니다.
14. 대상자에게 주삿바늘의 자극을 최소한으로 낮추고 주삿바늘이 정맥 안으로 들어가게 하고 주삿바늘이 정맥을 관통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늘이 피부를 통과하게 되면 피부와 바늘이 평형이 될 때까지 바늘을 낮추도록 합니다.
15. 주삿바늘이 정맥의 혈관 안으로 적절하게 잘 들어갔는지 확인하기 위해 카테터 내관으로 혈액이 역류하는지 확인하도록 합니다.
* 동맥의 혈관 안으로 주삿바늘이 잘못 들어가게 되면 동맥의 벽이 정맥의 벽보다 탄력이 좋아 정맥 주사할 때 보다 통증을 더 심하게 느끼도록 하고, 동맥의 경련이 발생하여 역류하는 혈액의 색깔이 붉게 나타납니다.
16. 정맥 안쪽으로 카테터를 살며시 밀어 넣도록 합니다.
17. 왼쪽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주삿바늘 삽입 부위 바로 위쪽의 정맥을 꽉 눌러 혈류를 차단하도록 합니다.
18. 주삿바늘을 빼내고 카테터만 그대로 남겨두도록 합니다.
19. 정맥 주입 세트의 연결관 뚜껑을 열고 카테터와 연결하도록 합니다.
20. 카테터와 정맥 주입 세트의 연결부위가 느슨하여 빠지지 않도록 꽉 조여 고정하도록 합니다. 왼쪽 손으로 카테터를 잡아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오른쪽 손으로 토니켓을 풀어 제거하도록 합니다.
21. 오른쪽 손으로 수액 세트의 조절기를 열어 수액이 들어가도록 합니다. 수액이 들어갈 때 주사 맞은 부위에 통증이 있는지 침윤의 증상이 있는지 주의 깊게 살펴보도록 합니다.
22. 삽입한 카테터가 빠지지 않도록 카테터 삽입 부위에 투명한 필름이나 종이 플라스타를 붙여 단단히 고정해 주도록 합니다.
23. 주사 부위의 수액 줄을 동글게 구부려 고리 모양을 만들고 주사가 들어간 부위가 닿지 않도록 반창고로 고정해 줍니다. 수액 줄이 잘 고정되지 않으면 주삿바늘이 혈관 밖으로 빠져나올 수 있으므로 단단하게 고정시켜 주도록 합니다.
24. 수액 줄을 고정하고 붙인 투명 필름이나 종이 플라스타에 주사를 삽입한 날짜와 시간, 사용한 바늘의 크기와 주사를 놓은 사람의 이름을 네임펜으로 적어 놓도록 합니다.
25. 의사가 처방한 주입 속도로 수액을 조절하도록 합니다. 수액의 주입속도가 빨라 수액이 너무 빨리 들어가게 되면 정맥주사 부위의 발적이나, 부종, 통증, 열감 등의 정맥염을 발생시킬 수 있어 위험합니다.
26. 착용한 장갑을 벗고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손을 깨끗이 씻도록 합니다.
27. 간호기록에 정맥 주입 시행 날짜와 시간, 약물 이름, 사용한 바늘 크기 등을 기록하도록 합니다.
* 감염 예방을 위해서 수액 세트는 이상이 없는 경우 보통 3일에 한 번씩 교체해 주도록 합니다.

 

 

정맥천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