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관영양의 목적
비위관을 통해 대상자에게 적절한 영양분을 공급해 주기 위해 위관영양을 합니다.
위관영양 방법
준비 물품은 물, pH 검사지, 주입 펌프, 비위관용의 50cc 주사기 또는 유동식 주머니, 정맥 주사용 걸대, 곡반, 종이 타월, 일회용 장갑, 처방된 영양액이 필요합니다.
1.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시술 전에 먼저 손을 씻도록 합니다.
2. 의사의 처방을 확인하고 위관영양을 하기 위해 필요한 물품을 준비하도록 합니다.
3. 처방된 유동식을 준비하도록 합니다. 캔으로 되어있는 유동식을 사용할 때는 날짜를 확인하고 혼합된 유동식을 사용할 때는 혼합된 날짜와 시간 등을 확인합니다. 유동식이 차가우면 불편감과 장 경련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유동식의 온도는 실온 정도로 준비하도록 합니다.
4. 대상자의 이름과 생년월일 또는 대상자의 이름과 환자 등록번호 그리고 환자 팔찌를 확인하여 대상자가 정확한지 확인하도록 합니다.
5. 대상자에게 위관영양을 하는 목적과 절차를 설명하도록 합니다.
6. 위관영양을 시행하기 적합한 높이로 침대를 조절해서 올리고, 간호사가 있는 쪽의 침상의 난간을 내리도록 합니다. 위관영양을 시행할 방향의 침상 옆에 서 있도록 하고 간호사가 있는 쪽의 침상 난간은 내리도록 하고 반대쪽에 위치한 침상 난간은 올리도록 합니다.
7. 대상자는 앉아 있는 자세인 좌위를 취하거나 침대 윗부분을 대략 30도 정도 올려주는 자세를 취해주도록 합니다. 이러한 자세는 위보다 머리를 높게 하여 위관영양을 시행할 때 기도로 내용물이 흡입될 가능성을 줄여주기 위해서 취해줍니다.
8.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손을 씻도록 하고 일회용 장갑을 착용하도록 합니다.
9. 위관의 위치를 확인하도록 합니다.
1) 비위관의 끝부분에 준비된 50cc 주사기를 연결하고 연결된 주사기로 위액을 10~20cm 정도 빼내어 위액의 pH 농도를 측정하도록 합니다.
보통 위액의 pH는 1~4 정도이고, 초록색이나 노란색으로 위액이 나오며 지속해서 위관영양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pH가 5 이상 측정될 수 있습니다.
2) 연결 되어있는 주사기로 비위관 안으로 공기를 10~20ml 정도 넣으면서 상복부에서 소리가 들리는지 청진기로 확인하도록 합니다.
10. 잔유량을 확인하도록 합니다.
1) 연결 되어있는 주사기로 10~20ml 정도 공기를 넣고, 흡인할 수 있는 만큼의 위 내용물을 주사기 내관을 천천히 당겨 빼내도록 합니다.
2) 체액과 전해질이 손실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흡입한 위 내용물을 다시 주입하도록 합니다. 잔유량을 측정했을 때 두 번 이상 잔유량이 200ml 이상이 나온다면 공복 지연을 의미하므로 위관영양을 중단하고 의사에게 보고하도록 합니다.
11. 위관영양을 시행하도록 합니다.
< 비위관용의 50cc 주사기를 이용한 위관영양을 하는 방법 >
1) 먼저 비위관의 끝부분을 꺾어 쥐고 비위관의 끝부분에 있는 위관마개를 제거하도록 합니다. 그리고 내관을 제거한 주사기를 비위관과 연결하도록 합니다.
2) 주사기 외관에 물을 20~30ml 정도 넣고 꺾어서 쥐고 있던 비위관을 풀어 물을 천천히 주입하도록 합니다. 이때, 비위관이 삽입된 위치보다 주사기를 45cm 이상 올리지 않도록 합니다.
3) 처방된 유동식을 주사기에 가득 넣어주고, 위에 공기가 들어가고 가스가 생기는 것을 막아주기 위해서 주사기가 비워지지 않게 연속적으로 처방된 양만큼 유동식을 주입하도록 합니다.
4) 위관영양이 끝나면 30~60ml 정도의 물을 넣고 위관을 씻어주어 농축된 유동식으로 인해 위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합니다.
5) 위관에 물이 전부 내려가기 전에 위관을 꺾어 쥐고 주사기를 빼내도록 합니다.
6) 꺾어 쥔 위관의 끝을 곡반에 가져다 놓고 위관에 남아있는 물을 떨어지도록 한 후 위관마개를 막도록 합니다.
< 유동식 주머니를 이용한 위관영양을 하는 방법 >
1) 유동식 주머니의 튜브를 잠그고 유동식을 주머니에 채운 후 정맥 주사용 걸대에 걸어 놓도록 합니다.
2) 유동식 주머니에 있는 점적 용기를 눌러 유동식 3분의 1 정도가 용기 안에 차 있도록 합니다.
3) 점적 용기와 연결된 튜브의 조절기를 열어 튜브에 유동식이 차도록 한 후 잠그도록 합니다.
4) 비위관의 끝부분을 꺾어 쥐고 비위관의 끝부분에 있는 위관마개를 제거하도록 합니다. 그리고 내관을 제거한 주사기를 비위관과 연결하도록 합니다.
5) 주사기 외관에 물을 20~30ml 정도 넣고 꺾어서 쥐고 있던 비위관을 풀어 물을 천천히 주입하도록 하고 주사기의 끝부분에 물이 왔을 때 위관을 꺾어 쥐고 주사기를 제거하도록 합니다.
6) 걸대에 걸어두었던 유동식 주머니를 위관에 연결하도록 합니다.
7) 튜브에 있는 조절기로 유동식의 주입속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보통 30분에서 1시간 정도 중력에 의해서 들어가도록 조절합니다.
8) 유동식 주입이 거의 끝나가면 30~60ml 정도의 물을 넣고 위관을 씻어주어 농축된 유동식으로 인해 위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합니다.
9) 위관에 물이 전부 내려가기 전에 위관을 꺾어 쥐고 연결되어 유동식 주머니를 제거하고 위관마개를 막도록 합니다.
12. 위관을 제자리에 다시 고정하도록 합니다.
13. 대상자에게 유동식이 들어간 후부터 30분 이상 앉아 있는 자세를 취하고 있도록 합니다.
14. 물품을 정리하도록 합니다.
15.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손을 씻도록 합니다.
16. 간호기록에 위관영양을 시행한 날짜와 시간, 주입 시간, 대상자 반응 등을 기록하도록 합니다.
'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간호학 실습 피하주사 (0) | 2025.03.20 |
---|---|
항생제 피부반응 검사하기 (0) | 2025.03.19 |
기본간호학 실습 비위관 삽입하기 (0) | 2025.03.13 |
관장의 목적과 절차에 대하여 (0) | 2025.03.12 |
유치도뇨의 목적과 절차 (0) | 2025.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