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기본간호학 실습 비위관 삽입하기

by healing-s2 2025. 3. 13.
반응형

비위관 삽입


비위관은 위 안의 가스와 내용물을 제거하기 위해 삽입하고, 위관영양 그리고 약물 주입, 진단적인 검사를 시행하기 위해 삽입합니다.

비위관 삽입 방법

준비 물품에는 수용성 윤활제, 50cc 주사기, 청진기, 8~18 Fr 비위관, 곡반, 종이타월, 반창고, 옷핀, 설압자, 빨대 컵, 물, 일회용 장갑, 펜라이트, pH 검사지가 필요합니다.


1. 대상자의 이름과 생년월일 또는 대상자의 이름과 환자 등록번호 그리고 환자 팔찌를 확인하여 대상자가 정확한지 확인하도록 합니다.
2. 대상자에게 비위관을 삽입하는 목적과 절차를 설명합니다.
3. 비위관 삽입에 필요한 물품을 준비하도록 합니다.
4. 대상자의 콧구멍을 왼쪽, 오른쪽 번갈아 가면서 막아주어 코안의 공기 흐름이 이상이 없는지와 피부 점막이 손상되지는 않았는지 확인하여 대상자의 비강이 비위관을 삽입해도 괜찮은지 확인하도록 하고, 위관 삽입을 시행할 쪽을 선택하도록 합니다.
5.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시술 전에 먼저 손을 씻도록 합니다.
6. 침대를 시술하기 쉬운 높이로 조절해서 올리고, 간호사가 있는 쪽의 침상의 난간을 내리도록 합니다. 비위관을 삽입할 방향의 침상 옆에 서 있도록 하고 간호사가 있는 쪽의 침상 난간은 내리도록 하고 반대쪽에 위치한 침상 난간은 올리도록 합니다.  
7. 대상자는 금기가 아니라면 앉아 있는 자세인 좌위로 자세를 취해주도록 한다. 앉아 있는 자세는 대상자가 구토를 할 경우 구토물이 폐로 들어가는 것을 막아주고, 위관에 내용물을 주입할 때 내려가게 쉽게 만들어 준다. 만약 대상자가 혼수상태라면 베개를 머리 뒷부분에 놓아 반좌위를 취해주도록 합니다.
8. 대상자의 턱 아래쪽 가슴부위에 종이타월을 펼쳐 놓도록 합니다.
9. 비위관을 삽입하기 위해 대상자의 위관 길이를 측정해야 하는데, 코끝에서 귓불까지의 길이와 귓불에서 검상돌기까지의 길이를 더하여 위관의 길이를 측정하도록 합니다. 비장관의 경우에는 비위관의 삽입 길이에 20~30cm를 더하도록 합니다. 
10. 일회용 장갑을 착용합니다.
11. 삽입할 비위관의 끝부분에 10~20cm 정도 수용성 윤활제를 바르도록 합니다. 수용성 윤활제는 마찰을 줄여주어 점막의 손상을 줄여 주고, 비위관이 비강 안으로 들어갈 때 부드럽게 들어갈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12. 비강을 통해서 비위관을 넣을 때, 대상자의 고개를 약간 들게 하여 부드럽게 천천히 비인두의 후방으로 비위관을 삽입하도록 합니다.
13. 비위관이 비인두에 들어가게 되면 대상자에게 고개를 앞으로 숙이도록 하고, 물이 들어있는 빨대 컵을 제공한 후 빨대로 물을 삼키도록 합니다. 대상자가 물을 삼킬 때마다 비위관을 밀어 넣도록 합니다. 비위관을 삽입할 때 대상자가 구역질을 한다면 잠깐 쉬도록 하고 입으로 호흡하도록 합니다.
*물을 삼키면 기침반사와 구개반사를 일으키는 것을 막아주어 비위관 삽입을 쉽게 하도록 도와줍니다.
14. 비위관을 삽입할 때 대상자에게 청색증이 나타나질 않는지, 기침이나 호흡곤란 및 구역질이 발생하는지 관찰하도록 합니다. 만약 대상자가 지속적으로 구역질을 한다면 입 안쪽에서 비위관이 꼬여있지는 않은지 펜라이트로 확인하도록 합니다.
15. 미리 측정했던 대상자의 위관 길이까지 비위관이 들어가게 되면 비위관이 잘 들어갔는지 위치를 확인하도록 합니다.
1) 비위관의 끝부분에 준비된 50cc 주사기를 연결하고 연결된 주사기로 위액을 10~20cm 정도 빼내어 위액의 pH 농도를 측정하도록 합니다.
2) 연결되어 있는 주사기로 비위관 안으로 공기를 10~20ml 정도 넣으면서 상복부에서 소리가 들리는지 청진기로 확인하도록 합니다.
16. 청진기로 비위관의 위치를 확인했으면 연결된 주사기를 제거하고 위 안으로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비위관의 끝부분을 마개로 막도록 합니다.
* 대상자가 대화를 하는데 불편감이 있지는 않은지, 산소포화도나 활력징후에 이상 변화가 없는지 등을 확인하도록 합니다.
17. 비위관이 빠지거나 흔들리지 않도록 반창고로 고정시키도록 합니다. 반창고의 아래쪽 부분을 5cm 정도 갈라서 둘로 나누고, 갈라지지 않은 부위는 대상자의 콧등에 붙여 고정하고 갈라진 쪽은 서로 반대 방향에서 비위관을 감싸면서 붙이도록 합니다.
18. 옷핀을 이용하여 비위관을 환의에 고정하도록 합니다.
19. 의사의 처방이 있는 경우 흉부 X-ray나 복부 X-ray를 촬영하여 비위관이 잘 들어갔는지 위치를 확인하도록 합니다.
20.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손을 씻도록 합니다.
21. 간호기록에 비위관의 굵기와 종류, 위 내용물의 흡인양 및 양상, 대상자 반응 등을 기록하도록 합니다.
22. 비위관을 삽입하면 입 안이 건조해지기 쉽고, 비강이 분비물로 막히기 쉬우므로 대상자의 비강 간호와 구강 간호를 실시하도록 합니다.

- 비위관을 제거하는 방법 -

1.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시술 전에 먼저 손을 씻도록 합니다.
2. 대상자에게 앉는 자세를 취하도록 합니다.
3. 일회용 장갑을 착용하도록 합니다.
4. 대상자에게 숨을 깊게 들이마시고 멈추도록 한 상태에서 너무 빠르지도 느리지도 않게 한 번에 위관을 뽑아 제거하도록 합니다.
5. 비위관을 폐기물 박스에 버리고 일회용 장갑을 벗도록 합니다.
6. 간호기록에 비위관을 제거한 시간, 위 내용물의 배액된 양 및 양상, 대상자 반응 등을 기록하도록 합니다.
7. 비위관을 삽입한 대상자의 비강 간호와 구강 간호를 실시합니다.

 

위관영양

반응형

'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생제 피부반응 검사하기  (0) 2025.03.19
위관영양의 목적과 방법  (0) 2025.03.17
관장의 목적과 절차에 대하여  (0) 2025.03.12
유치도뇨의 목적과 절차  (0) 2025.03.11
단순 도뇨의 목적과 절차  (0) 2025.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