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체 관장의 목적
정체 관장에는 가스의 배출을 도와주고 복부의 팽만을 감소시키는 구풍 관장이 있고, 신체에 영양분과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하는 영양 관장, 기생충을 제거하기 위한 구충 관장, 장을 수술하기 전에 결장 안의 세균을 감소시키고 전해질이 불균형할 때 교정하기 위해, 내장의 점막을 진정시키기 위해, 약물을 사용하는 관장으로 투약 관장이 있습니다. 또한, 신체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각 관장, 변이 딱딱하게 굳어 있을 때 변과 장의 점막을 부드럽게 만들어 배변 활동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름을 이용한 정체 관장이 있습니다.
정체 관장 절차
준비 물품에는 14~20 Fr 정도의 직장 튜브, 수용성 윤활제, 곡반, 화장지, 일회용 장갑, 방수포, 관장용 50cc 주사기, 처방된 관장용액이 있습니다.
1. 대상자의 이름과 생년월일 또는 대상자의 이름과 환자 등록번호 그리고 환자 팔찌를 확인하여 대상자가 정확한지 확인하도록 합니다.
2. 대상자에게 관장하는 목적과 절차를 설명하고 대상자의 상태를 살펴보도록 합니다. 일반적으로 관장을 할 때 복부 통증과 복부 팽만감 등 불편감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하도록 합니다.
3. 관장에 필요한 물품을 준비하도록 합니다.
4. 관장용 50cc 주사기에 처방된 관장 용액을 넣어주고 준비된 직장 튜브를 연결해 주도록 합니다.
5. 직장 튜브와 연결된 관장용 50cc 주사기의 공기를 제거해 주도록 합니다.
6.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시술 전에 먼저 손을 씻도록 합니다.
7. 일회용 장갑을 착용하도록 합니다.
8. 대상자의 프라이버시를 위해 커튼으로 대상자를 가리도록 합니다.
9. 침대를 시술하기 쉬운 높이로 조절해서 올리고, 간호사가 있는 쪽의 침상의 난간을 내리도록 합니다. 오른손잡이는 침상의 왼쪽에 왼손잡이는 침상의 오른쪽에 서 있도록 합니다. 침상의 난간을 사용하게 되면 간호사가 있는 쪽의 난간은 내리도록 하고 반대쪽에 위치한 난간은 올리도록 합니다.
10. 대상자를 좌측으로 눕도록 하여 좌측 엉덩이와 하지가 펴지도록 하고 우측 엉덩이와 무릎이 구부러진 자세인 심스 자세 또는 좌측위를 취하도록 합니다. 심스 자세는 관장 용액이 S상 결장과 직장까지 중력에 의하여 들어갈 수 있도록 도와주어 관장이 잘 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관장을 할 때 괄약근을 조절할 수 있는 힘이 약한 대상자는 장 내에 관장 용액을 머물게 할 수 없어서 배횡와위 자세를 하도록 도와주어 편안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11. 대상자의 둔부 밑부분에 방수포를 대어주도록 합니다.
12. 대상자의 환의 바지를 벗기고 관장을 할 때 대상자의 항문이 잘 보이도록 항문 부분만 드러내고 그 외에 다른 부분은 담요로 가려 대상자가 부끄럽거나 수치심을 느끼지 않도록 하여 대상자의 프라이버시를 지켜주도록 합니다. 둔부를 벌려 항문에 직장 탈장이나 치질, 치열 등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도록 합니다.
13. 직장 튜브의 끝부분에 10~15cm 정도 수용성 윤활제를 바르도록 합니다. 수용성 윤활제는 마찰을 줄여주어 점막의 손상을 줄여 주고 관장 튜브가 직장 안으로 부드럽게 들어갈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14. 관장을 할 때는 관장 용액을 정해진 시간 동안 체내에 유지하도록 해야 하므로 관장 후 화장실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 화장실을 사용하도록 알려주고, 화장실까지 이동이 어려운 경우에는 이동식 좌변기나 침상에서 변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해줍니다.
15. 한쪽 손으로 엉덩이를 벌려주고 대상자에게 입으로 아-하고 소리 내도록 하여 천천히 입으로 숨을 내쉬도록 하여 대상자의 괄약근을 이완시켜 줄 수 있도록 합니다.
16. 직장 튜브를 배꼽 부위를 향해 부드럽고 천천히 삽입시켜 주는데 성인의 경우 7.5cm, 아동의 경우 5~7.5cm 유아의 경우 2.5~3.75cm 정도 삽입 시켜주도록 합니다.
* 관장 튜브를 너무 깊이 삽입하게 되면 장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고, 관장을 시행할 때 관장 튜브를 억지로 직장에 삽입시키면 관장 튜브가 직장의 벽에 닿아 직장의 점막에 손상을 입힐 수 있으므로 주의하도록 합니다.
17. 처방된 관장 용액을 빠르게 주입하지 말고 대상자의 직장 안으로 천천히 주입하도록 합니다.
* 관장 용액을 빠르게 주입하게 되면 직장이 팽창하게 되어 불편감과 통증이 생길 수 있고 압력이 높아지면 장이 파열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도록 한다. 또한, 관장을 시행할 때 대상자의 신체 변화가 있는지 잘 관찰하도록 합니다. 만약 대상자가 식은땀을 흘리고, 얼굴이 창백해지고 심한 통증을 호소하거나 출혈이 있다면 바로 관장을 중지하고 대상자를 똑바로 눕혀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의사에게 보고하도록 합니다.
18. 관장 용액이 전부 들어갈 때까지 직장의 튜브를 고정하여 잡고 있도록 합니다.
19. 관장 용액이 전부 들어가면 대상자에게 관장 용액이 다 들어갔으니 10~15분 정도로 참을 수 있을 만큼 침대에 누워 있는 상태로 참고 화장실에 가도록 알려주고, 복부 통증과 복부 팽만감 등 불편감이 있을 수 있는데 이는 정상적인 것이라고 알려줍니다. 동시에 준비된 화장지로 항문을 누르면서 직장 튜브를 부드럽고 천천히 제거해 주도록 합니다.
20. 일회용 장갑을 벗도록 합니다.
21.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손을 씻도록 합니다.
22. 배출된 대변의 양과 색깔, 냄새, 모양, 대변에 혈액이나 점액이 묻어있지는 않는지, 특이 사항이 있는지를 관찰하고 대변을 치운다. 이상이 있을 시에는 의사에게 알리도록 합니다.
23. 간호기록지에 간호기록을 하도록 합니다.
'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관영양의 목적과 방법 (0) | 2025.03.17 |
---|---|
기본간호학 실습 비위관 삽입하기 (0) | 2025.03.13 |
유치도뇨의 목적과 절차 (0) | 2025.03.11 |
단순 도뇨의 목적과 절차 (0) | 2025.03.10 |
우리 몸의 신호 활력징후 측정하기 (0) | 2025.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