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단순 도뇨의 목적과 절차

by healing-s2 2025. 3. 10.
반응형

단순 도뇨 목적

단순 도뇨는 유치 도뇨관을 제거한 후 자연적으로 배뇨를 못 하는 경우와 방광 팽만을 완화하기 위해 하는 경우, 배뇨 후 소변이 남아있는 잔뇨량을 측정하기 위한 경우, 무균적으로 소변 검사물을 채취하기 위한 경우에 합니다.

 

단순 도뇨 절차

준비 물품은 단순 도뇨관과 멸균 도뇨 세트(포셉, 멸균 장갑, 소공포, 소독액을 넣을 작은 용기 두 개, 소독솜, 거즈, 수용성 윤활제, 곡반), 소변기, 검사물 용기(검사를 하는 경우), 방수포가 필요합니다.


1.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시술 전에 먼저 손을 씻도록 합니다.
2. 단순 도뇨에 필요한 물품을 준비하도록 합니다.
3. 대상자의 이름과 생년월일 또는 대상자의 이름과 환자 등록번호 그리고 환자 팔찌를 확인하여 대상자가 정확한지 확인하도록 합니다.
4. 대상자에게 단순 도뇨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하고 대상자의 상태를 살펴본다. 라텍스나 소독약에 알레르기가 있는지 확인하고, 일반적으로 도뇨 시술을 할 때 통증은 없고 압박감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하도록 합니다.
5. 대상자의 방광이 얼마나 팽창되었는지 손으로 촉진 (치골결합 윗부분으로 팽창된 방광이 촉진된다) 하여 사정하거나 방광 스캔을 사용하여 방광에 차 있는 소변의 양을 측정하도록 합니다.
6. 대상자의 프라이버시를 위해 커튼으로 대상자를 가리도록 합니다.
7. 침대를 시술하기 쉬운 높이로 조절해서 올리고, 간호사가 있는 쪽의 침상 난간을 내리도록 한다. 오른손잡이는 침상의 왼쪽에 왼손잡이는 침상의 오른쪽에 서 있도록 한다. 침상의 난간을 사용하게 되면 간호사 쪽의 난간은 내리도록 하고 반대쪽에 위치한 난간은 올리도록 합니다.
8. 대상자의 둔부 밑부분에 방수포를 대어주도록 합니다.
9. 환의 바지를 벗기고 무릎을 구부린 후 다리를 60cm 정도 벌린 배횡와위(여성의 경우)를 취한다. 남성의 경우에는 똑바로 눕는 자세인 앙와위를 취하여 눕게 하거나 대퇴 부위를 약간 외전한 좌위(옆으로 눕는 자세)를 취하게 한다. 이러한 자세는 대상자의 신체를 이완시켜 주어 도뇨관을 삽입할 때 생식기의 구조가 잘 보이도록 도와줍니다.
10. 대상자의 회음부만 드러내고 그 외에 다른 부분은 담요로 가려 대상자가 부끄럽거나 수치심을 느끼지 않도록 하여 대상자의 프라이버시를 지켜주도록 합니다.
11. 대상자의 엉덩이 아래쪽으로 방수포를 깔고 간호사는 대상자의 침상 발 쪽을 향해 서도록 합니다.
12.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손을 씻도록 합니다.
13. 대상자에게 다리를 움직이지 않도록 설명합니다.
14. 대상자의 벌린 다리 사이로 멸균 도뇨 세트를 올려놓고 멸균술을 적용하여 멸균 도뇨 세트를 열도록 한다. 소변 검사가 필요한 경우 검사물 용기를 미리 열어 놓도록 합니다.
15. 멸균 장갑을 끼고 도뇨관 끝에 윤활제를 충분히 바른다. 윤활제는 도뇨관을 삽입할 때 점막이 손상되는 것을 막아주고 마찰을 줄여줍니다.
16. 멸균된 소공포를 무균법을 이용하여 회음부 위에 펼쳐놓고 음순만을 드러내도록 합니다.
17. 한쪽 손의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소음순을 벌리도록 합니다.
18. 외음부 주위를 소독할 때 차가운 느낌이 있을 수 있음을 설명합니다.
19. 다른 쪽 손으로 포셉을 잡는다. 포셉으로 소독솜을 잡아 양쪽 대음순, 소음순, 요도 순으로 요도 입구 위쪽에서 항문 쪽을 향하여 깨끗이 닦도록 한다. 감염 예방을 위해서 소독솜은 한 번만 사용하고 버리고 재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 남성의 경우 음경을 고환에서 90도 각도로 올리고 포피를 내린 후 요도 입구를 중심으로 바깥 방향으로 둥글게 원을 그리며 깨끗이 닦도록 합니다.
20. 한쪽 손으로 도뇨관 끝에서 5~8cm 정도 뒷부분을 감아쥐어 주고 도뇨관의 끝부분을 곡반에 놓도록 합니다.
21. 대상자에게 천천히 깊게 숨을 쉬도록 하고 요도 입구 안으로 도뇨관의 끝부분부터 5~8cm 정도 부드럽게 삽입하도록 합니다. 소변이 도뇨관을 통해 흘러나오기 시작하면 2~3cm 더 삽입합니다. 소변이 흐르면 도뇨관이 요도 입구에서 빠져서 나오지 않도록 소음순을 벌리고 있던 손가락으로 도뇨관을 붙잡고 고정합니다. 도뇨관을 삽입할 때 억지로 힘을 주어 삽입하면 점막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하도록 합니다.
* 남성의 경우 음경을 수직으로 들어 올리고 18~20cm 정도 삽입하도록 합니다.
22. 방광이 비워질 때까지 손으로 도뇨관을 잡고 있고, 소변 검사가 필요하다면 검사물을 30cc 정도 수집하도록 합니다. 만약 소변이 나오지 않는다면 도뇨관이 질로 삽입되지는 않았는지 확인합니다. 도뇨관을 잘못 삽입한 경우 멸균된 다른 도뇨관으로 다시 삽입하도록 합니다.
* 소변을 비울 때 한 번에 750~1000ml 이상의 소변을 제거하지 않도록 합니다. 많은 양의 소변을 한꺼번에 비우게 되면 골반저부 혈관의 울혈과 압력이 갑자기 저하되어 저혈압성 쇼크를 일으킬 수 있고 방광경련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3. 도뇨관을 천천히 부드럽게 제거하고 회음 부위를 포셉을 이용하여 마른 거즈로 닦아 깨끗하게 만듭니다.
24. 소공포를 치우고 장갑을 벗습니다.
25. 방수포를 제거하고 환의 바지를 입히고 담요를 덮어줍니다.
26. 물품을 정리하고 소변 검사물은 라벨을 붙여 검사실에 바로 보내고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냉장고에 보관하도록 합니다. (소변을 실온에 30분 이상 놓으면 미생물이 자라서 검사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27.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손을 씻도록 합니다.
28. 간호기록을 합니다.

 

 

단순도뇨 시행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