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근육주사의 목적과 방법

by healing-s2 2025. 3. 20.
반응형

< 근육주사의 목적 >

근육주사는 피하조직을 자극하는 약물을 깊은 근육에 주사하기 위해서 시행합니다.
근육주사는 굵은 혈관, 굵은 신경, 뼈가 있는 부위를 피해 근육 발달이 잘 되어 있는 곳을 선택하도록 하며 둔부의 복면 부위, 둔부의 배면 부위, 삼각근 부위, 외측광근 부위에 시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상자에게 혈액 응고 장애가 있는 경우, 신경이나 골조직의 손상 부위가 있는 경우, 화농성 괴사 부위인 경우, 피부에 찰과상이 있는 경우, 피부가 딱딱하게 굳어 있거나 만질 때 통증을 느끼는 경우에는 근육주사를 놓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약물 중에 조직에 괴사를 유발하는 약물로 근육주사를 놓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근육주사를 여러 번 놓을 경우에는 주사 부위를 번갈아 가면서 놓아야 합니다.

< 근육 주사를 놓는 방법 >

준비 물품은  2cc 또는 3cc 멸균주사기, 20~23G 주사침, 알코올솜, 약물, 투약 카드, 일회용 장갑, 쟁반이 필요합니다.

1. 투약 사고 없이 약물의 투약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기 위해 의사의 투약 처방을 확인하고 근육주사에 필요한 물품을 준비하도록 합니다. 투약 카드와 의사가 지시한 투약 처방을 확인하도록 합니다.
2. 대상자에게 근육주사를 하는 목적과 절차를 설명해 줍니다.
3.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시술 전에 먼저 손을 깨끗이 씻도록 합니다.
4. 준비한 약에서 주사기로 약물을 뽑아내도록 합니다.
5. 대상자의 이름과 생년월일 또는 대상자의 이름과 환자 등록번호 그리고 환자 팔찌를 확인하여 대상자가 정확한지 확인하도록 합니다.
6.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일회용 장갑을 착용하도록 합니다.
7. 근육주사를 시행할 부위에 맞는 적절한 자세를 취하도록 한다. 적절한 자세를 취하면 주사 부위를 이완시켜 불편감이 감소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 삼각근 부위에 놓을 경우에는 눕거나 앉아있는 자세에서 팔을 이완시키는 자세를 취하고, 외측광근 부위에 놓을 경우에는 앉은 자세나 똑바로 누운 앙와위 자세를 취합니다. 그리고 측둔근 부위에 놓을 경우에는 똑바로 눕거나 옆으로 누울때는 무릎을 구부린 자세를, 배둔근 부위에 놓을 경우에는 엎드린 자세를 취하게 하고 발의 끝을 안쪽으로 모은 자세를 취하도록 하며 옆으로 눕는 경우에는 위쪽의 다리를 좀 더 구부린 자세를 취하도록 합니다.
8. 근육주사를 시행할 부위를 세부적으로 선택하여 정하도록 합니다. 이전에 주사 놓았던 부위가 약물의 흡수가 잘되지 않아 부어오르거나 단단하게 된 곳, 주사 부위에 병변이 있는 곳은 피해서 선택하도록 합니다.
9. 선정한 주사 부위를 알코올솜으로 둥글게 원을 그리며 바깥쪽으로 향해 닦도록 하고 알코올솜으로 닦은 부위의 피부가 마르길 기다리도록 합니다. 만약 지방 분비로 인해 피부에 기름기가 있으면 아세톤으로 피부를 닦도록 합니다.
10. 새끼손가락에 알코올솜을 끼워놓고 주삿바늘을 제거할 때 사용하도록 합니다.
11. 주사침 뚜껑을 빼도록 합니다.
12. 왼쪽 손으로 주사 놓을 부위를 팽팽하게 당겨 눌러주도록 합니다.
13. 오른쪽 손으로 주사기를 잡고 주삿바늘의 경사면을 위쪽으로 향하게 한 뒤 90도 정도의 각도로 빠르게 근육주사를 놓도록 합니다.
14. 조직에 주사침이 들어가 있는 동안 피부를 팽팽하게 잡아당겼던 왼쪽 손을 놓은 뒤 왼쪽 손으로 주사기의 밑부분을 고정하여 잡도록 합니다.
15. 오른쪽 손은 주사기의 내관으로 가져가고 주사침이 혈관 안으로 들어가지는 않았는지 주삿바늘 끝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주사기의 내관을 잡아당겨 보도록 합니다. 주사기의 내관을 당겼을 때 피가 나오면 주사기와 투여할 약물, 주사침을 버린 후 새로운 주사기에 새로운 약물을 다시 준비합니다.
16. 피가 나오지 않는다면 약물을 천천히 주입하도록 합니다.
17. 약물이 전부 주입되면 주삿바늘이 들어간 각도 그대로 주삿바늘을 빠르게 제거하도록 합니다. 이때, 피부를 누르면서 주삿바늘을 제거하도록 합니다.
19. 알코올솜으로 근육주사를 놓은 부위를 부드럽게 문지르도록 합니다.
20. 주삿바늘에 뚜껑을 씌울 때 발생하는 사고를 막기 위해서 사용한 주삿바늘은 주삿바늘 뚜껑을 씌우지 않고 지정된 손상성 폐기물 용기에 버리도록 합니다.
21. 대상자가 편안한 자세로 있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22. 장갑을 벗고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손을 씻도록 합니다.
23. 근육주사를 놓은 뒤에 신경이나 뼈가 손상되지는 않았는지 주사 부위의 통증, 욱신거림, 마비, 화끈거림을 관찰하도록 합니다.  
24. 간호기록에 근육주사 시행 날짜와 시간, 약물 이름 등을 기록하도록 합니다.
24. 시간이 적당히 흐르면 대상자의 반응을 관찰하도록 합니다.

-  Z-track 방법으로 근육주사를 놓는 방법

1. 의사의 투약 처방을 확인하고 근육주사에 필요한 물품을 준비하도록 합니다. 투약 카드와 의사가 지시한 투약 처방을 확인하도록 합니다.
2. 대상자에게 근육주사를 하는 목적과 절차를 설명해 줍니다.
3.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시술 전에 먼저 손을 깨끗이 씻도록 합니다.
4. 준비한 약에서 주사기로 약물을 뽑아내도록 합니다.
5. 대상자의 이름과 생년월일 또는 대상자의 이름과 환자 등록번호 그리고 환자 팔찌를 확인하여 대상자가 정확한지 확인하도록 합니다.
6.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일회용 장갑을 착용하도록 합니다.
7. 근육주사를 시행할 부위에 맞는 적절한 자세를 취하도록 한다. 적절한 자세를 취하면 주사 부위를 이완시켜 불편감이 감소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8. 근육주사를 시행할 부위를 세부적으로 선택하여 정하도록 합니다. 이전에 주사 놓았던 부위가 약물의 흡수가 잘되지 않아 부어오르거나 단단하게 된 곳, 주사 부위에 병변이 있는 곳은 피해서 선택하도록 합니다.
9. 선정한 주사 부위를 알코올솜으로 둥글게 원을 그리며 바깥쪽으로 향해 닦도록 하고 알코올솜으로 닦은 부위의 피부가 마르길 기다리도록 한다. 만약 지방 분비로 인해 피부에 기름기가 있으면 아세톤으로 피부를 닦도록 합니다.
10. 새끼손가락에 알코올솜을 끼워놓고 주삿바늘을 제거할 때 사용하도록 합니다.
11. 주사침 뚜껑을 빼도록 합니다.
12. 왼쪽 손으로 주사 놓을 부위를 팽팽하게 당겨 눌러주도록 합니다.
13. 0.2ml 정도의 공기를 주사기에 채우고 주삿바늘을 새로 교체하도록 합니다.
14. 왼쪽 손의 새끼손가락 부분의 손바닥 부분으로 주사를 놓을 부위를 누르고 좌측으로 2.5~3.5cm 정도 피하지방과 피부를 잡아당기도록 합니다.
15. 주삿바늘의 경사면을 위쪽으로 향하게 한 뒤 90도 정도의 각도로 빠르게 근육주사를 놓도록 합니다.
16. 주사기의 내관을 잡아당겨 주삿바늘이 제대로 된 위치에 들어갔는지 확인하도록 합니다.
17. 피가 나오지 않는다면 약물을 천천히 주입하도록 합니다.
18. 약물을 주입한 뒤에 0.2ml 정도의 공기를 주입하도록 합니다.
19. 약물이 전부 주입된 뒤에 10초 동안 주삿바늘을 빼지 않고 머물게 한 뒤 주삿바늘을 빠르게 제거하도록 합니다.

20. 당기고 있던 피부를 놓고 약물이 피하조직에 스며들어 갈 수 있으므로 문지르지 않고 살짝 닦아내도록 합니다.
21. 주삿바늘에 뚜껑을 씌울 때 발생하는 사고를 막기 위해서 사용한 주삿바늘은 주삿바늘 뚜껑을 씌우지 않고 지정된 손상성 폐기물 용기에 버리도록 합니다.
22. 장갑을 벗고 손을 씻도록 합니다.
23. 간호기록에 근육주사 시행 날짜와 시간, 약물 이름 등을 기록하도록 합니다.

 

 

기본간호학 실습 근육주사

반응형

'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맥 주사부위 선정 및 수액 준비  (1) 2025.03.25
인슐린과 당뇨병의 종류  (0) 2025.03.24
기본간호학 실습 피하주사  (0) 2025.03.20
항생제 피부반응 검사하기  (0) 2025.03.19
위관영양의 목적과 방법  (0) 2025.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