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침과 심호흡 >
기침은 강한 공기 흐름을 통해 기도 내에 있는 이물질이나 유해 물질을 몸 밖으로 배출시켜 제거하여 기도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해준다.
심호흡은 폐활량을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더 많은 산소를 혈액 속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해주고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도와주어 신체 각 조직의 기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고, 부교감 신경계를 활성화해 주어 심장박동이 느려지도록 만들고 혈압을 낮춰주어 근육이 이완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는 긴장과 스트레스를 감소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리고 심호흡을 규칙적으로 하면 폐의 탄력성을 유지해 주고 폐활량을 늘려주어 폐의 기능을 항상 시켜주는 데 도움을 주며, 몸이 이완될 수 있도록 해주어 통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주고 횡격막의 운동을 활발하게 만들어 복부에 있는 장기들을 마사지 해주어 혈액 순환을 촉진해 준다. 또한, 수술 후에 심호흡하면 폐의 확장을 도와주어 무기폐와 같은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게 해준다.
- 기침과 심호흡하는 방법
준비 물품: 휴지, 청진기, 곡반, 베개
1.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손을 깨끗이 씻도록 한다.
2. 대상자에게 기침과 심호흡을 하는 이유와 절차를 설명해 주도록 한다.
3. 대상자가 심호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가능한 반좌위를 취해주도록 한다.
4. 청진을 하여 대상자의 폐 상태를 확인하도록 한다.
5. 심호흡하는 방법을 교육하도록 한다.
통증 부위를 지지하여 심호흡을 효율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먼저 손이나 베개를 사용하여 흉복부 수술 부위를 지지해 주도록 하고 코로 숨을 깊게 들이마시고 입으로 숨을 깊게 내쉬도록 심호흡하는 방법을 교육해 주도록 한다. 심호흡은 2~3회 반복하도록 하고, 1~2시간마다 10회씩 시행하도록 한다.
6. 기침하는 방법을 교육하도록 한다.
통증 부위를 지지하여 기침을 효율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먼저 손이나 베개를 사용하여 흉복부 수술 부위를 지지해 주도록 하고 대상자의 상체를 앞쪽으로 약간 기울 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2~3회 정도 심호흡을 시행하도록 하고 깊게 숨을 들이마시고 1~2초간 숨을 참도록 알려주며 기침을 2~3번 정도 깊게 하도록 한다. 기침할 때 복부의 근육이 수축할 수 있도록 강하게 기침할 수 있게 해준다. 분비물이 배출되는 경우에는 곡반이나 휴지에 뱉어낼 수 있도록 해준다.
7. 결핵환자나 MRS 환자 등 감염 위험이 있는 대상자로부터 간호사를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에는 마스크와 장갑, 가운 등 보호장구를 착용하도록 해준다.
8. 기침과 심호흡을 하고 난 뒤에 청진기로 폐의 상태를 청진하도록 한다.
9. 무기폐와 폐렴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분비물이 많은 경우에 기침과 심호흡을 자주 하도록 교육 해준다.
10. 호흡을 짧게 하거나 어지러운 증상 등의 과호흡 증상이 있는지 확인하도록 한다.
11.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손을 깨끗이 씻도록 한다.
< 강화폐활량계 >
강화폐활량계는 폐렴이나 만성 폐쇄성 폐질환 등의 폐질환을 앓은 뒤에 폐활량을 늘리고 폐 기능을 회복시켜 폐를 강화하는 데 도움을 주고 호흡 근육이 강화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리고 수술한 후에 폐의 확장을 도와주어 수술로 인한 폐의 합병증을 예방해 준다. 그리고 기도 안에 있는 가래나 분비물이 이동하는 것을 촉진해 주어 기도 안의 분비물이 기침으로 쉽게 배출되어 나올 수 있도록 하여 기도 안의 분비물 제거에 도움을 준다.
- 강화폐활량계 사용하는 방법
준비 물품 : 휴지, 곡반, 청진기, 강화폐활량계, 베개
1. 강화폐활량계를 하는 데 필요한 물품을 준비하도록 한다.
2.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손을 깨끗이 씻도록 한다.
3. 대상자에게 강화폐활량계를 하는 이유와 절차를 설명해 주도록 한다.
4. 대상자가 심호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폐의 확장을 돕는 반좌위 자세를 취해주도록 한다.
5. 강화폐활량계를 사용하는 방법을 교육하도록 한다.
대상자의 최대 흡식량이 어느 정도 되는지 확인하고 목표를 정하도록 하고, 통증 부위를 지지하여 기침을 효율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먼저 손이나 베개를 사용하여 흉복부 수술 부위를 지지해 주도록 한다. 그리고 강화폐활량계를 사용하기 전에 숨을 깊게 들이마시고 내쉬도록 하며 강화폐활량계를 똑바로 세워서 잡고 호스를 입에 물도록 한다. 목표로 지정한 위치까지 강화폐활량계 안쪽의 작은 공이 도달하도록 최소한 3~5초 동안 천천히 깊게 숨을 들이마시고 천천히 숨을 내쉬도록 하며 지속해서 강화폐활량계를 사용하도록 하여 5~10회 정도 반복하도록 하고, 1시간에 10분씩 사용하도록 설명한다. 한번 사용할 때마다 휴식을 갖도록 하여 무리하지 않도록 설명하고 대상자를 심리적으로 지지하고 격려해 주도록 한다.
6.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손을 깨끗이 씻도록 한다.
< 타진법 >
타진법은 분비물이 기도 안에서 잘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준비 물품: 수건, 청진기, 물, 휴지, 곡반
1.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손을 깨끗이 씻도록 한다.
2. 대상자에게 타진법을 하는 이유와 절차를 설명해 주도록 한다.
3. 대상자가 심호흡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반좌위 자세를 취해주도록 한다.
4. 청진기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폐 상태를 청진해 확인하도록 한다.
5. 대상자의 불편감을 감소시켜 주기 위해 타진을 시행할 위치를 수건으로 덮어주도록 한다.
6. 손을 컵 모양으로 만들고 손을 손가락에 모두 붙여서 약간 구부려 오므려 준다. 손목에 힘을 빼고 손안에 있는 공기가 흉벽에 부딪혀 흉벽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도록 타진할 부위를 가볍게 두드려 타진하도록 한다.
7. 폐를 타진한 뒤에 기침하도록 격려해 준다.
8. 청진기를 사용하여 폐의 상태를 청진해 준다.
9. 간호기록에 기록해 준다.
'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소화(산소마스크, 비강인두관) (0) | 2025.04.11 |
---|---|
산소화( 비강 캐뉼러, 구강인두관) (0) | 2025.04.10 |
폐쇄식 기관 흡입 (0) | 2025.04.03 |
개방식 기관 흡입 (0) | 2025.04.02 |
구강인두와 비강 인두로 흡인하기 (0)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