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소요법 >
- 산소마스크(O2 mask)
산소마스크는 가습효과가 있는 산소를 고농도로 공급하여 혈액 안의 산소 농도가 부족하지 않도록 만들어 저산소혈증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사용하고 호흡기계의 부담을 감소시켜 폐질환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해준다.
산소마스크의 종류에는 단순 안면 마스크, 벤투리 마스크, 부분 재호흡 마스크, 재호흡 방지 마스크가 있다. 산소마스크는 가습효과가 있는 산소를 고농도로 공급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준비 물품: 멸균 증류수, 산소마스크(단순 안면 마스크, 부분 재호흡마스크, 재호흡 방지 마스크, 벤투리 마스크), 거즈, 산소유량계, 습윤병
1. 산소마스크로 산소요법을 시행할 때 대상자의 불안감을 줄이고 협조가 잘되도록 대상자에게 산소요법의 시행 이유와 필요성, 산소요법 절차에 관해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산소는 발화 보조물질이므로 화재의 위험성이 있으니 금연하도록 설명하고 전열기구나 라이터불, 성냥불, 스파크, 폭발성 물질 사용을 주의하도록 하는 등의 화재 예방 방법에 관해 설명하도록 한다.
2. 산소마스크를 이용해 산소요법을 시행하는 데 필요한 물품을 준비하도록 한다.
3.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손을 깨끗이 씻도록 한다.
4. 호흡기 점막의 건조를 예방하기 위해서 대상자에게 가습 된 산소를 제공해야 하므로 산소유량계가 연결되어 있는 습윤병에 멸균 증류수를 정해진 눈금까지 채우도록 한다. 그리고 준비된 산소마스크를 연결하도록 한다.
5. 의사가 처방한 산소 유량에 맞춰 산소를 조절하도록 하는데 ball의 중앙에 유량계의 눈금을 맞추도록 한다.
6. 대상자에게 적당한 크기의 산소마스크를 사용하여 대상자가 산소마스크를 착용할 때 얼굴에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고, 대상자의 입과 코를 덮을 수 있도록 착용하여 산소가 새어 나가지 않게 끈으로 조절하여 착용시켜 준다.
* 부분 재호흡 마스크나 비재호흡마스크는 저장백이 달려 있어 대상자에게 마스크를 적용하기 전에 먼저 산소를 사용하여 저장백을 부풀려 주도록 한다. 부분 재호흡 마스크는 대상자가 내쉴 때 나온 산소와 공기가 저장백 안에서 섞여 저장백 안의 섞인 공기를 재호흡하게 되며 흡기 때에 저장백에서 공기가 완전히 빠지면 안 된다. 비재호흡 마스크는 일방향 밸브가 있어서 실내의 공기나 대상자가 내쉴 때 배출한 공기가 저장백으로 다시 들어가지 않아 대상자가 산소가 풍부한 저장백의 공기로 호흡할 수 있도록 해준다.
벤투리 마스크는 흡인하는 산소 농도에 맞춰서 산소 유량을 조절하도록 해야 하며 어댑터의 종류를 잘 선택하여 처방된 산소의 농도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벤투리 마스크는 24~50%의 농도의 산소를 3~15L/min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산소의 농도를 비교적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어 주로 만성폐쇄성폐질환 대상자에게 사용된다.
7. 산소마스크를 적용할 때 조이는 부분은 피부에 압박과 자극을 주어 피부를 손상할 수 있으므로 거즈나 듀오덤을 사용해 조이는 부분에 대주어 피부가 눌리거나 자극되어 손상되지 않도록 해준다.
8. 대상자에게 계속해서 산소를 공급하게 되면 안면 마스크에 습기가 차오르게 된다, 그래서 거즈로 마스크 안쪽의 습기를 2~3시간마다 닦아주면서 피부를 건조하도록 한다.
9. 대상자의 호흡 양상과 대상자의 반응, 산소가 주입된 시간, 산소의 주입량을 간호기록에 기록하도록 한다. 만약 동맥혈 가스분석검사를 시행하라는 의사의 처방이 있다면 산소요법을 시작 30분 후나 산소의 농도를 조절하고 30분 후에 동맥혈 가스분석검사를 시행하도록 한다.
< 인공기도 관리 >
- 비강인두관 삽입
비강인두관을 삽입하는 이유는 반의식 상태에 있는 대상자나 구역반사나 기침반사가 있는 의식이 있는 대상자가 구강인두관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에 기도를 유지시켜 호흡을 원활히 유지하기 위해 삽입한다. 그리고 구강에 외상을 입거나 구강에 수술한 경우 구강인두관을 사용하지 못할 때 삽입하고 빈번한 흡인으로 인해서 비인두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삽입한다.
- 비강인두관 삽입하는 방법
준비 물품: 비강인두관, 수용성 윤활제, 거즈, 일회용 장갑, 반창고
1. 대상자에게 비강인두관을 삽관하는 이유와 절차를 설명해 주도록 한다.
2. 대상자에게 맞는 적당한 크기의 비강인두관을 준비하도록 한다.
* 비강인두관은 코 끝부분에서 귓불까지의 길이가 적당하다. 비강인두관의 길이가 너무 긴 경우에는 미주신경을 자극하여 맥박을 느려지게 할 수 있고 성문이나 후두개에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3.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손을 깨끗이 씻도록 하고 일회용 장갑을 착용하도록 한다.
4. 대상자를 똑바로 누운 자세인 앙와위 자세를 취하게 하거나 반좌위 자세를 취하도록 해준다.
5. 수용성 윤활제는 비강인두관 삽입을 원활하게 해주므로 거즈에 수용성 윤활제를 소량 묻혀서 비강인두관에 발라주도록 한다.
6. 후방 쪽으로 비강인두관의 비스듬한 면이 비중격을 바라보도록 하여 코안 쪽을 따라서 관을 삽입하도록 한다.
7. 반창고를 사용하여 비강인두관이 빠지지 않게 얼굴과 외비공에 고정하도록 한다.
8. 비강인두관은 안쪽 부분이 좁아서 혈액이나 점액, 구토물 등의 분비물 및 이물질로 쉽게 막힐 수 있으므로 상태를 자주 확인하도록 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흡인하여 분비물을 제거해 주도록 한다.
9. 간호기록에 대상자의 호흡 상태 등을 기록하도록 한다.
'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욕창관리 쉽고 빠르게 알아보기! (0) | 2025.05.08 |
---|---|
산소화( 비강 캐뉼러, 구강인두관) (0) | 2025.04.10 |
흉부 물리요법 (0) | 2025.04.09 |
폐쇄식 기관 흡입 (0) | 2025.04.03 |
개방식 기관 흡입 (0) | 2025.04.02 |